1. PCV13, 13가 단백결합 백신
가격: 10~15만원.
가족보건의원 10만원으로 가장 저렴.
5세 미만 영유아 무료.
5세 이상 어린이, 성인은 유료.
◑영유아 필수 예방접종 백신.
◑65세 이상 노인에겐 권장하는 백신.
◑13가지 원인균에 대응.
◑23가보다 좁은 예방범위지만 면역 예방효과가 더 우수함.
◑항체형성 80% 이상.
◑폐렴구균 폐렴 45% 예방. 폐렴 예방효과가 입증.
◑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(급성 중이염, 패혈증, 수막염 등) 75% 예방.
◑성인 평생 1회 접종, 영유아는 개월수에 따라 4회 접종.
2. PPSV23, 23가 다당류 백신
가격: 4~7만원
65세 이상 노인은 무료.
◑5세 미만 아이에겐 항체형성이 안되므로 불필요한 백신.
◑성인, 65세 이상 노인 접종 권장 백신.
◑23가지 원인균에 대응.
◑13가보다 더 넓은 범위를 예방하지만 면역 예방효과가 13가보다 떨어짐.
◑소아보다 성인에게 효과적.
◑항체형성 80% 이상. 5~10년후 항체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재접종이 필요하다.
◑폐렴구균 폐렴, 효과가 일정치 않은 것이 단점. 예방효과가 뚜렷하다고 확신할 수 없는 백신.
◑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(패혈증, 수막염) 50~80% 예방.
◑65세 이상 노인은 접종 5년후 재접종 필요.
◑64세 미만은 1회 접종 후 65세 이상이 되면 재접종 필요.
1. 영유아
생후 2개월~만5세 사이 영유아는 폐렴구균 13가지를 예방하는 13가 백신 예방접종으로 충분하다. 접종비용은 무료.
2. 폐렴 고위험군은 23가 백신 접종이 필요.
만2세~만18세 중에서 폐렴 고위험군에 속하는 아이들에 한해 23가 백신 접종을 권장한다. 접종비용은 무료.
폐렴 고위험군은 만성 심장, 폐 질환, 당뇨병, 만성 신부전, 선천성 면역결핍, 만성 간질환, 신 증수군 등에 속하는 소아 청소년.
3. 폐렴주사 접종시기
◑13가 백신은 생후 2개월, 4개월, 6개월, 12~15개월 시기에 총 4차에 걸쳐 실시한다.
◑13가 백신을 생후 7개월 이후 시작하면 1~3회 접종.
◑23가 백신은 만2세 이후 특별한 지정날짜 없이 1회 접종을 실시한다.
1. 19~65세 미만 성인
◑19~64세 성인중에서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받은 적이 없는 성인도 폐렴 예방을 위해 23가 백신 정도는 맞아두면 좋다.
◑13가와 23가 백신 2종류를 모두 맞을 경우 13가를 먼저 맞는것이 좋다.
◑13가는 접종후 8주후에 23가를 맞을 수 있고, 23가는 접종후 1년후에 13가를 맞을 수 있다.
2. 65세 미만 성인 폐렴 고위험군
◑폐렴구균 예방접종 권장. 13가와 23가 2종류 모두 맞을 것을 권장.
◑만성 심장 질환(고혈압은 제외), 만성 폐 질환, 알코올 중독, 만성 간 질환, HIV 감염증, 만성 신부전, 신증후군, 악성 종양, 다발성 골수종, 면역 결핍증
3. 65세 이상 노인
23가 백신은 무료 접종.
13가 백신은 유료 10~15만원.
◑노인들에겐 13가와 23가 백신 모두 맞을것을 권장하고 있다.
◑23가를 이미 맞았다면 1년후 13가 백신을 맞으면 맞으면 된다.
◑드물게 아나필락시스(쇼크) 상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접종 후 20분 정도 접종기관에 머무르면서 관찰. 아나필릭시스는 발진, 호흡곤란, 두드러기, 실신 등의 증상을 의미한다.
◑특별 주의사항은 접종 당일엔 음주, 샤워 금지.
◑가장 흔한 주사 부작용은 주사부위 부어오름, 해당부위 통증이며 체질에 따라 발열,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.
◑독감 주사보다 부작용 증상이 강한 경향이 있다.
◑부작용은 일반적으로 48시간 이내에 호전이 된다.
◑부작용 확률은 13가 백신이 10~20%, 23가 백신이 30~50% 확률이다.
◑13가 백신의 경우 접종횟수가 늘어날수록 부작용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.
◑백신을 맞고 예방효과를 기대하는 것도 좋지만 평소 폐렴에 걸리지 않게 폐 건강에 신경을 쓰는 것이 더 중요하다. 운동도 좋고 영양제도 좋다. 식사는 비타민C, 비타민E가 많은 음식 위주로, 보충제는 비타민C나 아연 성분이 특히 폐건강에 좋다.